심한 비결막염 병력이 있는 만 14세 남아인 Paul은 늦은 봄과 여름에 두 차례 천식 발작을 일으켜 담당 의사를 찾아갔습니다. Paul은 또한 토마토, 멜론, 귤, 키위, 복숭아 등 여러 가지 과일과 채소를 먹을 때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이 발생합니다. Paul의 부모는 아들이 특이 면역치료(SIT)를 받기를 원합니다.
Paul의 담당 의사는 전체 임상 병력을 확인하고 신체검사를 한 뒤 잔디 꽃가루 성분항원을 사용하여 검사해 보기로 했습니다.
Paul은 일부 과일이나 야채를 먹을 때 비결막염(rhino-conjunctivitis), 천식 발작,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OAS) 등이 발생하는 병력이 있습니다.
검사 |
유형 |
Paul의 결과 |
계란 |
전체 항원 |
0 |
우유 |
전체 항원 |
0 |
잔디 혼합 |
전체 항원 |
+3 |
자작나무 |
전체 항원 |
+2 |
이전에 Paul을 진료했던 담당 의사는 꽃가루가 날리는 계절에는 경구 항히스타민제와 비강 스테로이드제를 사용을 권고했습니다.
이 결과와 환자의 병력 및 증상을 종합하면 진단을 확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알레르기항원 | 유형 | Pau의 결과 |
티모시 | 전체 항원 | 11.1 |
자작나무 | 전체 항원 | 8.3 |
토마토 | 전체 항원 | 4.2 |
멜론 | 전체 항원 | 7.1 |
복숭아 | 전체 항원 | 3.9 |
키위 | 전체 항원 | 6.5 |
알레르기항원 | 유형 | Paul의 결과 |
Phl p 1 | 알레르기 성분항원 | 10.4 |
Phl p 5b | 알레르기 성분항원 | 3.9 |
Phl p 6 | 알레르기 성분항원 | 1.1 |
Phl p 12(프로필린) | 알레르기 성분항원 | 8.7 |
Bet v 2(프로필린) | 알레르기 성분항원 | 6.3 |
잔디 특이적 성분항원인 Phl p 1과 5b에 대한 IgE 항체 수치가 유의하게 높다는 것은 “실제로” 잔디 꽃가루에 감작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Paul이 프로필린에 대해 IgE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여러 종류의 과일과 채소에 대한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OAS)이 설명됩니다.1
정밀 진단
담당 의사 관리 계획
Paul의 담당 의사는 다음과 같이 조언합니다.
추적관찰
이 사례 연구와 사진 속의 인물과 장소 및 상황은 실제 환자와 관련이 없으며 Thermo Fisher Scientific과도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