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자 및 보호자
알레르기 및 자가면역질환
환영합니다. 환자 또는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 위한 컨텐츠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전문의료인입니까?

이 웹사이트의 내용은 전문의료인만을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이 사이트로 접속하면 본인이 전문의료인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입니까?

이 웹사이트의 내용은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만을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이 사이트로 접속하면 본인이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알레르기 천식: 개요, 진단 및 치료

알레르기 및 천식에 관하여

천식은 기도가 좁아지는 만성적이고 복합적인 염증 질환으로, 소아와 성인 모두에게 영향을 주는 심각한 공공 보건 문제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25만 명이 천식으로 사망하며 이러한 사망의 거의 대부분은 예방이 가능합니다.1

감작을 유발하는 알레르기항원이나 자극 물질에 천식 환자가 노출되면 천식 증상이 증가하거나 더욱 악화될 수 있습니다.2

약리학적 관리뿐만 아니라 알레르기 유발인자를 식별하고 관리하는 것은 증상 억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3-5 천식의 관리에서 환자가 확인된 유발인자에 노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유발인자를 식별하고 적절한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3

알레르기 반응으로 유발되는 천식은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항원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천식 증상을 일으키는 유발인자입니다.6 여기에는 집먼지 진드기 및 반려동물과 같은 다년성 알레르기항원과 꽃가루와 같은 계절성 알레르기항원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4-6 알레르기 유발인자에 노출된 천식 환자는 심각한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식품 알레르기를 동반한 소아 천식 환자의 경우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천식이 악화될 위험이 7배 더 높습니다.7,8
  • 알레르기 항원에 노출되거나 바이러스 감염이 있는 천식 환자는 알레르기만 있는 환자에 비해 입원 위험이 거의 20배나 더 높습니다.9
  • 천식과 함께 땅콩 또는 견과류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는 치명적인 아나필락시스의 위험이 증가합니다.10

또한 알레르기 동반 질환을 식별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알레르기 비염과 비알레르기 비염은 모두 천식 발병의 위험 인자입니다.11 천식 환자의 80% 이상이 동시에 비염도 앓고 있는데1 이는 "하나의 기도에 하나의 질병(one airway, one disease)"이라는 개념을 시사합니다. 알레르기 비염이 있으면 일반적으로 천식이 악화되어, 천식 발작, 응급실 방문 및 천식으로 인한 입원 위험이 높아집니다.12-16 나중에 천식이 발병하게 될 아토피 환자에게서 알레르기 질환의 초기 임상적 발현으로 알레르기 비염이 나타나는 것인지, 비염 자체가 천식의 원인이 되는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12

천식 단독 환자(n=22,692) 대비 천식과 알레르기비염 동반이환 성인 환자(n=4,611)에 대한 영국의 일차 진료소(GP) 조사에서, 천식과 함께 알레르기비염이 동반된 경우 다음 항목이 증가되었습니다.14

  • 연간 일차 의료기관 방문 횟수(P<0.0001)
  • 입원 가능성(P<0.01)
  • 천식 약제비 증가(P<0.0001)

 

2025년까지 4억 명

세계적으로 약 300만 명의 인구가 천식을 앓고 있으며, 2025년까지 4억 명에게 영향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1

다양한 유발인자가 천식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항원 노출, 운동, 찬 공기, 건조한 공기, 기도 감염 등과 연관되어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강한 냄새나 담배연기와 같은 자극물질도 증상의 악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천식 환자의 증상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유발인자를 확인하고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천식은 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한 가지 이상으로 나타납니다.1

  • 쌕쌕거림
  • 기침
  • 숨가쁨
  • 가슴이 답답함

 

약리학적 관리 외에도 알레르기 유발인자를 식별하고 관리하는 것은 증상 억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3-5  천식의 관리에서 환자가 확인된 유발인자에 노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유발인자를 식별하고 적절한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3

알레르기 유발인자 식별: 감별진단을 위한 검사

알레르기를 중심으로 환자 병력을 확인하고 신체 검사를 실시하는 동안 천식의 특징인 몇 가지 변수와 반복되는 증상을 발견하게 될 수 있습니다. 기도 폐쇄, 기관지 과잉반응 및 기저 염증이 확인될 수 있습니다.

지침에서는 천식이 진단되면 천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요인을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모든 천식 환자의 의료 기록 및 행동 계획에 문서화할 것을 권장합니다.17 천식의 기저 알레르기 진단은 신체 검사와 알레르기에 중점을 둔 환자 병력 조사로부터 시작됩니다. 몇 가지 주요 질문을 통해 상세한 병력을 확인하고 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천식은 종종 병력만으로 정확하게 진단을 내리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환자는 집먼지 진드기 또는 고양이 알레르기를 암시하는 병력을 가지고 있을 수 있지만 실제로는 감작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18

알레르기에 중점을 둔 환자 병력 조사 후 가장 적절한 다음 단계는 특이 IgE 검사일 것입니다. 특이 IgE 혈액 검사, 피부단자검사(SPT) 또는 이 두 가지 검사 모두는 중요한 진단 방법입니다. SPT 및 특이 IgE 정량검사와 알레르기에 중점을 둔 환자 병력을 결합하면 알레르기항원 감작 가능성을 고려하거나 배제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임상 관리 개선이 가능합니다.19,20


누가 검사를 받아야 합니까?

알레르기는 천식 환자 중 소아의 경우 최대 60~90%, 성인의 경우 약 50%에서 천식 악화를 유발하므로,23,24 지침에서는 천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요인을 정기적으로 식별하고 이를 모든 천식 환자의 의료 기록 및 개인별 천식 관리 계획에 문서화할 것을 권장합니다.25 하나 이상의 알레르기 유발인자에 대한 노출을 줄이면 증상 및 약물 사용의 필요성도 줄일 수 있습니다.22

알레르기 천식 알고리즘 보기

출처: National asthma Education and Prevention Program. Expert Panel Report 3 (EPR-3):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sthma-Summary Report 200722 and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Food Allergy in the United States: Summary of the NIAID-Sponsored Expert Panel Report.26

알레르기항원 감작 검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대부분의 천식 환자는 알레르기항원 부하를 가중시키는 다중 알레르기 감작(다년성 및 계절성 공기 중 알레르기항원)이 나타납니다.4,21 이러한 알레르기항원 감작은 환자의 유발인자 부하에 더해져서 심지어 다른 비알레르기성 유발인자에 의해서도 천식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4,5 천식과 호흡기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에게 약물 요법 사용과 더불어 감작되는 알레르기항원에 대한 노출을 감소시키면 증상을 완화 또는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23, 24, 27-29

특이 IgE 정량검사는
환자 병력에만 의존하는 경우보다 결과의 정확성을 개선합니다.
18

알레르기항원 증가로 인한 증상 누적

알레르기 환자의 최대 80%는 2가지 이상의 알레르기항원에 감작되어 있습니다.21 그 영향은 누적됩니다. 각 환자는 여러 유발인자가 있을 수 있으며 이들 인자가 복합적으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4,5 알레르기항원의 증상 역치는 증상을 유발하기 시작하는 누적된 알레르기항원 부하의 수치입니다.4,21

감작을 유발하는 관련된 알레르기항원을 식별하는 것은 알레르기항원에 대한 노출을 증상 역치 미만으로 유지하기 위한 포괄적인 노출 감소 계획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환자에게 감작을 유발하는 알레르기항원(특히 집먼지 진드기)을 식별하고 이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면 알레르기로 유발되는 천식 악화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2 천식이 있는 환자의 경우 알레르기와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은 서로 상승 작용으로 환자의 증상 역치를 초과하도록 하여 심각한 증상 악화가 발생할 위험을 증가시킵니다.2 천식 및 알레르기 환자가 호흡기 바이러스에도 감염될 경우 입원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2

일반적인 검사 대상 알레르기항원:22

  • 꽃가루
  • 식품
  • 반려동물
  • 곰팡이
  • 집먼지 진드기
  • 기타 동물

Testing Confidence

테스트로 진단 신뢰도 향상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되는 진단 검사를 추가하면 진단에 대한 신뢰도가 90 %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i,ii 통상적으로, 알레르기성 또는 자가 면역 질환의 진단은 사례 이력 및 신체 검사에 의존합니다. 그러나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되는 진단 검사를 추가하면 진단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i,ii 진단 검사는 또한 환자의 삶의 질과 생산성을 높이고 결근과 관련된 비용을 줄이며 의약품의 사용을 최적화하고 예정되지 않은 의료기관 방문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iii,iv 

i. Duran-Tauleria E, Vignati G, Guedan MJ, et al. The utility of specific immunoglobulin E measurements in primary care. Allergy. 2004;59 (Suppl78):35-41.
ii. NiggemannB, Nilsson M, Friedrichs F. Paediatric allergy diagnosis in primary care is improved by in vitro allergen specific IgE testing. Pediatr Allergy Immunol. 2008;19:325-331
iii. Welsh N, et al. The Benefits of Specific Immunoglobulin E Testing in the Primary Care Setting. J Am Pharm Assoc. 2006;46:627.
iv. Szeinbach SL, Williams B, Muntendam P, et al. Identification of allergic disease among users of antihistamines. J Manag Care Pharm. 2004; 10 (3): 234-238

테스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550 개 이상의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학술 정보를 얻으십시오.

알레르기 천식 환자의 관리 및 치료

천식은 유병률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측면에서 중요도가 높은 만성 호흡기 질환입니다.30 천식은 환자의 신체적 건강(예: 비만, 신체적 기능 제한), 심리적 건강(예: 불안, 우울감, 자존감) 및 사회적 건강(예: 사회 활동 참여, 동료 인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건강 관련 삶의 질(HRQoL)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1,32

천식 환자는 천식 악화에 대비한 단기적 치료와 천식 조절 및 유지를 위한 장기적 치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많은 천식 환자가 천식 악화 때문에 응급 치료를 자주, 때로는 거의 독점적으로 받게 됩니다.30

또한 많은 비율의 천식 환자에서 아토피 감작과 동반 질환이 나타납니다. 실내 및 계절성 알레르기는 매우 흔하게 발생하며 많은 천식 환자에서 두 가지 이상의 알레르기 감작이 나타납니다.30 알레르기항원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천식 증상을 유발하는 유발인자입니다.33 여기에는 애완동물이나 집먼지 진드기와 같은 다년성 알레르기항원과 꽃가루 같은 계절성 알레르기항원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30,33

알레르기 천식의 치료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중재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알레르기항원 회피

2. 약리학적 관리

3. 면역요법

천식의 치료를 분류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진료지침(practice parameters)이 개발되었고, 지침에 기반한 관리를 통해 질병 관리를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4

참고문헌

 

  1. Pawankar R, Holgate S, Canonica G, at el. World Allergy Organization. White Book on Allergy (WAO). 2011. http://www.worldallergy.org/UserFiles/file/WAO-White-Book-on-Allergy_web.pdf. Accessed December 2017.
  2. Murray CS, Foden P, Sumner H, et al. Preventing Severe Asthma Exacerbations in Children. A Randomized Trial of Mite-Impermeable Bedcover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17;196(2):150-158.
  3. Janssens T, Ritz T. Perceived Triggers of Asthma: Key to Symptom Perception and Management. Clin Exp Allergy. 2013;43(9):1000-1008. doi:10.1111/cea.12138.
  4. Eggleston PA. Control of environmental allergens as a therapeutic approach. lmmunol Allergy Clin North Am. 2003;23(3):533-547. 
  5. Wickman M. When allergies complicate allergies. Allergy. 2005;60 (suppl 79):14-18.
  6. Baxi SN, Phipatanakul W. The role of allergen exposure and avoidance in asthma. Adolesc Med State Art Rev. 2010;21(1):57-71.
  7. Roberts G, Patel N, Levi-Schaffer F, et al. Food allergy as a risk factor for life-threatening asthma in childhood: a case-controlled study. J Allergy Clin Immunol. 2003;112:168-174.
  8. Liu AH, Jaramillo R, Sicherer SH, et al. Nation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food allergy and relationship to asthma: results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2006. J Allergy Clin Immunol. 2010;126(4):798-806 e13.
  9. Murray CS, Poletti G, Kebadze T, et al.Study of modifiable risk factors for asthma exacerbations: virus infection and allergen exposure increase the risk of asthma hospital admissions in children. Thorax. 2006;61:376-382.
  10. Lomas JM, Järvinen KM. Managing nut-induced anaphylaxis: challenges and solutions. J Asthma. 2015;8:115-123.
  11. Scadding GK, Durham SR, Mirakian R, et al. BSACI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llergic and non-allergic rhinitis. Clin Exp Allergy. 2008;38:19-42. 

  12. Bousquet J, Van Cauwenberge P, Khaltaev N, et al. Allergic rhinitis and its impact on asthma. J Allergy Clin Immunol. 2001;108(suppl 5):S147-S334.
  13. Thomas M, Kocevar VS, Zhang Q, et al. Asthma-Related Health Care Resource Use Among Asthmatic Children With and Without Concomitant Allergic Rhinitis. Pediatrics. 2005;15:129-134.
  14. Price D, Zhang Q, Kocevar VS, et al. Effect of a concomitant diagnosis of allergic rhinitis on asthma-related health care use by adults. Clin Exp Allergy. 2005;35:282-287. 
  15. Crystal-Peters J, Neslusan C, Crown WH, et al. Treating allergic rhinitis in patients with comorbid asthma: the risk of asthma-related hospitalizations and emergency department visits. J Allergy Clin Immunol. 2002;109(1):57-62.
  16. Valovirta E. Managing Co-Morbid Asthma With Allergic Rhinitis: Targeting the One-Airway With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s. World Allergy Organ J. 2012;5:S210-S211.
  17. Royal College of Physicians. Why Asthma Still Kills: the National Review of Asthma Deaths (NRAD) Confidential Enquiry Report. London, RCP, 2014. www.rcplondon.ac.uk/sites/default/files/why-asthma-still-kills-full-report.pdf. Accessed January 2018.
  18. Smith HE, Hogger C, Lallemant C, et al. Is structured allergy history sufficient when assessing patients with asthma and rhinitis in general practice? J Allergy Clin Immunol. 2009;123:646-650.
  19. Duran-Tauleria E, Vignati G, Guedan MJ, et al. The utility of specific immunoglobulin E measurements in primary care. Allergy. 2004;59 (Suppl 78):35-41.
  20. Niggemann B, Nilsson M, Friedrichs F. Paediatric allergy diagnosis in primary care is improved by invitro allergen specific IgE testing. Pediatr Allergy Immunol. 2008;19:325-331.
  21. Ciprandi G, Alesina R, Ariano R, et 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allergic polysensitization: the POLISMAIL study. Eur Ann Allergy Clin Immunol. 2008;40(3):77-83
  22. NIH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sthma, 2007
  23. Allen-Ramey F, et al. J Am Board Fam Pract. 2005;18(5):434-439.
  24. Host A, Halken S. Allergy. 2000;55:600-608.
  25. National Review of Asthma Deaths (NRAD). Why Asthma Still Kills: Confidential Enquiry Report. London: RCP; 2014.
  26. NIH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Food Allergy.
  27. Morgan WJ, et al. N Engl J Med. 2004;351:1068-80.
  28. Zethraeus N, et al. Italian Journal of Pediatrics. 2010;36:61.
  29. Janson,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2009;123:840-6.
  30. Nunes C, Pereira AM, Morais-Almeida M. Asthma costs and social impact. Asthma Res Pract. (2017) 3:1.
  31. Cui W, MS, Zack MM, Zahran H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Asthma among United States Adolescents. J Pediatr. 2015 February ; 166(2): 358–364. 
  32. Juniper EF. Quality of life in adults and children with asthma and rhinitis. Allergy. 1997: 52;971-977.
  33. Baxi SN, Phipatanakul W. The role of allergen exposure and avoidance in asthma. Adolesc Med State Art Rev. 2010;21(1):57-71.
  34. Shiffman RN et al. Bridging the Guideline Implementation Gap: A Systematic, Document-Centered Approach to Guideline Implementation. J Am Med Inform Assoc. 2004;11:418–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