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자 및 보호자
알레르기 및 자가면역질환
환영합니다. 환자 또는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 위한 컨텐츠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전문의료인입니까?

이 웹사이트의 내용은 전문의료인만을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이 사이트로 접속하면 본인이 전문의료인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입니까?

이 웹사이트의 내용은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만을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이 사이트로 접속하면 본인이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식품 알레르기: 개요, 진단 및 치료

식품 알레르기는 소아와 성인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공중 보건 문제로 점점 환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식품 알레르기에 관하여

전 세계적으로 5억 2천만 명이 식품 알레르기로 고통을 겪고 있으며,1 많은 환자들이 한 가지에서 세 가지 식품에 감작이 나타납니다.2

식품 알레르기는 비알레르기성 식품 반응과 다양한 증상이 서로 겹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식품 알레르기를 감별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1 셀리악병에 의해 유발되는 위장관(GI) 증상 및 유당 불내성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과 같이 특정 식품 불내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이 종종 식품 알레르기로 오인됩니다.2

검사 결과에 기초한 진단과 이에 따른 상담과 조언을 통해 이상반응의 발생률을 낮추고, 정상적이고 건강에 좋은 식단의 일부로서 섭취해도 되는 식품을 불필요하게 제외하게 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1, 3

식품 알레르기는 종종 실제 유병률보다 환자 스스로 진단하여 본인이 직접 보고하는 경우가 훨씬 많으므로 식품 알레르기가 있는지 확인하거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임상 평가 및 진단 검사와 함께 환자 증상에 대한 이력을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

식품 알레르기 유형 살펴보기

Cow’s Milk
우유
Egg
계란
Peanut
땅콩
Tree Nut
나무 견과
Fish
물고기
Shellfish
조개
Wheat
Soy
간장

6억명

전 세계적으로 5억 2천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습니다.1

자세한 환자 병력 확인을 통해 환자가 가진 식품 알레르기 유형을 밝혀내기 시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1,8

환자의 증상 발현 양상은 환자가 보고하는 반응이 면역 매개 반응인지 비면역 매개 반응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8  후자의 경우 특정 유형의 식품 또는 성분에 대한 일반적 불내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에는 특정 세포 또는 항체가 반응에 연관됩니다.9

식품 이상반응5,6

식품 이상반응:
비면역 매개

식품 이상반응:
면역 매개

식품 알레르기 진단은 신체 검사로 시작되며, 특히 식품 알레르기에 중점을 둔 환자 병력의 확인이 매우 중요합니다.2,8

식품 알레르기 진단: 감별진단을 위한 검사

검사 결과에 기초한 진단과 이에 따른 상담과 조언을 통해 이상반응의 발생률을 낮추고, 정상적이고 건강에 좋은 식단의 일부로서 섭취해도 되는 식품을 불필요하게 제외하게 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1,8

식품 알레르기 진단은 신체 검사로 시작되며, 특히 식품 알레르기에 중점을 둔 환자 병력의 확인이 매우 중요합니다.2,8

환자 병력 조사의 목적에는 알레르기의 원인이 될 수 있는 특정 식품이나 유형 확인도 포함됩니다. 170가지 이상의 식품이 식품 알레르기의 유발인자로 확인되었지만, 식품 알레르기의 90%는 8개 알레르기항원군에 의해 유발됩니다.2,10

미국의 연구에 따르면 우유, 달걀, 땅콩은 어린이에게 가장 많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반면, 땅콩, 견과류, 해산물은 성인과 청소년에게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알레르기항원입니다.2,10

환자 병력에서 수집한 정보는 필요한 검사와 결과 해석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체계적 접근법은 환자가 보고한 식품 알레르기 병력 및 검사실 검사 또는 피부 검사 데이터가 진단에 충분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외에도 문제를 일으키는 알레르기항원의 정확한 식별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 경구식품유발검사(OFC)를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꽃가루 식품 알레르기 증후군(PFAS)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OAS)으로도 알려져 있는 꽃가루 식품 알레르기 증후군(PFAS)은 특히 꽃가루에 감작되어 있는 환자가 특정 식품을 섭취한 후 발생하는 알레르기 반응입니다.11  PFAS는 성인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식품 알레르기일 수 있으며, 꽃가루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의 최대 60%가 영향을 받습니다.11

PFAS의 증상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식품이 구강 점막, 입술, 혀 또는 목구멍 등에 닿았을 때 나타납니다. 이러한 OAS 증상은 해당 식품을 익히지 않은 상태로 섭취한 지 수분 이내에 나타나지만 몇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원인 알레르기항원은 조리와 소화 과정에서 빠르게 변성되지만, 특정 환자에게는 여전히 전신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11

평균적으로 PFAS 환자에게 PFAS 증상을 유발하는 식품은 4가지입니다. 꽃가루에 감작된 환자의 최대 60%에서 증상을 유발하는 식품은 생과일, 채소, 견과류, 곡물 등입니다.11

 

다음과 같은 꽃가루 유형은 연관된 다양한 과일과 채소에 대한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1

꽃가루 유형

연관된 과일 및 채소

grass pollen

자작나무

아몬드, 사과, 살구, 당근, 셀러리, 체리, 밤, 치커리, 대추야자, 펜넬, 무화과, 포도, 헤이즐넛, 잭프루트, 키위, 참외, 오렌지, 천도복숭아, 파슬리, 파스닙, 복숭아, 땅콩, 피스타치오, 배, 자두, 감자, 말린 자두, 시금치, 호두, 수박

grass pollen

잔디

사과, 당근, 셀러리, 카모마일, 밤, 커런트, 대추야자, 가지, 무화과, 포도, 키위, 참외, 오렌지, 천도복숭아, 복숭아, 피스타치오, 토마토, 수박

mugwort pollen

아니시드, 사과, 아보카도, 캐러웨이 씨, 당근, 셀러리, 카모마일, 고수, 페넬, 망고, 겨자, 파슬리, 복숭아, 고추, 해바라기, 수박

ragweed pollen

돼지풀

사과, 바나나, 멜론, 당근, 셀러리, 카모마일, 고수, 오이, 민들레, 펜넬, 허니듀 멜론, 키위, 참외, 복숭아, 고추, 수박, 애호박

증상 및 징후
알아보기

일반적인 식품 알레르기 증상:

  • 위장관 증상
  • 가벼운 쌕쌕거림 또는 기침 
  • 입, 입술 또는 목구멍의 가려움 또는 따끔거림 
  • 피로
  • 두드러기
  • 성장 장애 
  • 심한 가려움증
  • 안면 부종 
  • 심한 열감 또는 심한 냉감
  • 불안감 증가
  • 안면 창백 또는 홍조 
  • 호흡곤란  
  • 쉰 목소리 
  • 해소/숨이 막히는 기침 
  • 매우 창백한/청색 입술 
  • 무반응 
  • 순환기 허탈

 

 

상세한 환자 병력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식품 알레르기가 원인일 수 있는 몇 가지 증상이 발견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증상은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하며 경우에 따라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천식 환자가 식품 알레르기도 있는 경우 증상이 심각하게 악화될 위험이 높습니다.3 소아의 경우 1992년과 2012년 사이에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최대 7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지난 5년 동안에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4

소아의 식품 알레르기

유아 및 소아에서의 식품 알레르기 문제는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중등도 내지 중증의 습진이 있는 영아와 소아의 약 40%는 알레르기 유발 식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계란, 우유, 콩, 밀에 대한 식품 알레르기1를 앓고 있습니다.1,2

다행히도 계란 또는 우유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아이는 5세까지는 회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2 그러나 그동안 이와 함께 다른 식품에도 알레르기가 있는 아이들은 삶의 질의 저하를 자주 경험합니다. 이는 보통 다음과 같은 원인에 기인합니다.5,6

  • 식단 제한으로 인한 사회적 고립
  • 학교 출석 및 사교 행사와 관련한 아이와 부모의 불안감
  • 주요 식품의 회피로 인한 영양실조 및 성장장애7

이러한 이유로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식품의 조기 확인과 회피가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식품 알레르기와 기타 질환 사이에 알려진 연관성이 있습니다. 계란이나 우유에 알레르기가 있는 어린이의 약 40~60%는 천식으로 발전하며, 30~55%는 알레르기 비염으로 발전하게 됩니다.2

550가지 이상의 알레르기항원에 대한 과학적 정보 알아보기

테스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참고문헌
  1. Pawankar R, Holgate ST, Canonica GW, et al. World Allergy Organization (WAO) White Book on Allergy. 2013. http://www.worldallergy.org/UserFiles/file/WhiteBook2-2013-v8.pdf. Accessed November 2017.  
  2. Kurowski K, Boxer RW. Food allergies: detection and management. Am Fam Physician. 2008;77:1678-1688. 
  3. Burks AW, Tank M, Sicherer S, et al. ICON: Food allergy. J Allergy Clin Immunol. 2012;129:906-920. 
  4. FARE. Food Allergy Research.Facts and Statistics. https://www.foodallergy.org/life-food-allergies/food-allergy-101/facts-and-statistics. Accessed January 2018.
  5. Spergel JM. Nonimmunoglobulin E-Mediated Immune Reactions to Food. Allergy Asthma Clin Immunol. 2006;2(2):78-85.
  6. Kashyap RR, Kashyap RS. Oral Allergy Syndrome: An Update for Stomatologists. J Allergy. 2015;2015:543928. 
  7. Hochwallner H, Schulmeister U, Swoboda I, et. al. Cow’s milk allergy: From allergens to new forms of diagnosis, therapy and prevention. Methods. 2014;66(1):22-33. 
  8. Clark AT, Skypala I, Leech SC, et al. British Society for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egg allergy. Clin Exp Allergy. 2010;40(8):1116-1129. 
  9. Flokstra-de Blok BM, et 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food allergic patients: comparison with the general population and other diseases. Allergy. 2010;65:238-24.4
  10. Le TM, Zijlstra WT, van Opstal EY, et al. Food avoidance in children with adverse food reactions: influence of anxiety and clinical parameters. Pediatr Allergy Immunol. 2013:24(7):650-655.
  11. Mehta H, Groetch M, Wang J. Growth and Nutritional Concerns in Children with Food Allergy. Curr Opin Allergy Clin Immunol. 2013;13(3):275-279. 
  12. Wang J, Liu AH. Food allergies and asthma. Curr Opin Allergy Clin Immunol. 2011;11(3):249-254. 
  13. Turner PJ, Gowland MH, Sharma V, et al. Increase in anaphylaxis-related hospitalizations but no increase in fatalities: An analysis of United Kingdom national anaphylaxis data, 1992-2012. J Allergy Clin Immunol. 2015;135(4):956-963.e1. 
  14. Żukiewicz-Sobczak WA, Wróblewska P, Adamczuk P, Kopczyński P. Causes, symptoms and prevention of food allergy. Postepy Dermatol Alergol. 2013;30(2):113-116. 
  15. Duran-Tauleria E, et al. Allergy. 2004;59 (Suppl 78):35-41.
  16. Niggemann B, Nilsson M, Friedrichs F. Pediatr Allergy Immunol. 2008;19:325-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