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자 및 보호자
알레르기 및 자가면역질환
환영합니다. 환자 또는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 위한 컨텐츠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전문의료인입니까?

이 웹사이트의 내용은 전문의료인만을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이 사이트로 접속하면 본인이 전문의료인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입니까?

이 웹사이트의 내용은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만을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이 사이트로 접속하면 본인이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 개요, 진단 및 치료

갑상선 질환에 관하여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AITD)은 가장 유병률이 높은 자가면역질환 중 하나입니다.1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 환자가 진단 시기를 놓치면 심혈관질환, 골다공증 및 불임과 같은 심각한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합니다. AITD의 위험성과 비교적 높은 유병률에도 불구하고 인구의 약 5%2(AITD 환자의 최대 60%)는 자신의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습니다.3 실험실 진단을 사용하면 모호한 AITD 증상을 감별할 수 있습니다.4

AITD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유병률이 더 높으며, 여성의 유병률은 최대 4.6%, 이에 비해 남성의 유병률은 2.83%에 불과한5 가장 흔한 자가면역질환 중 하나이지만 모호한 증상으로 인해 진단에서 누락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AITD는 비정상적인 세포 또는 면역 반응으로 인해 갑상선 기능장애가 유발되는 여러 질병 상태를 포함합니다.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그레이브스병은 임상적으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형태의 AITD입니다.1

이러한 두 가지 AITD 증상의 발현 및 유형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전형적인 잠행성 증후군이며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나타납니다. 환자는 단 하나의 증상도 인지하지 못하고 수 개월 또는 수 년간 질병을 가진 상태로 지낼 수 있습니다.4,6
  • 그레이브스병은 다소 갑작스럽게 발현되며 갑상선기능항진증으로 나타납니다. 자주 나타나는 첫 번째 증상은 심계항진과 불안감입니다.4

 

인구의 5% 

AITD의 위험성과 비교적 높은 유병률에도 불구하고, 인구의 약 5%2는 자신의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습니다.3   

이러한 AITD는 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을 유발합니다.7,8

하시모토 갑상선염의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집중력 저하
  • 우울
  • 과도한 졸림
  • 하지 부종
  • 서맥
  • 추위에 민감
  • 약간의 체중 증가
  • 갑상선종
  • 변비

그레이브스병의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불안
  • 흥분
  • 수면 장애
  • 피로
  • 빠르거나 불규칙한 심박동
  • 더위에 민감
  • 정상적인 음식 섭취에도 불구한 체중 감소
  • 갑상선종
  • 설사

혈청학적 검사는 AITD를 진단하고 다른 형태의 갑상선 기능장애와 AITD를 감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갑상선기능항진증 진단: 감별진단을 위한 검사 

혈청학적 검사는 AITD를 진단하고 다른 형태의 갑상선 기능장애와 AITD를 감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국제 지침의 분류 기준은 다음 항목에 대한 자가항체 검사를 권고합니다.4

  • Thyroid peroxidase (TPO)
  • Thyroglobulin (TG)
  • Thyroid stimulating hormone receptor (TSH-R)

항 TPO 항체 측정은 AITD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검사입니다. 이러한 항체는 그레이브스병 또는 하시모토 갑상선염에서 검출될 수 있습니다.

 

AITD 환자는 1개의 자가항체에 대해서만 양성인 검사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시모토 갑상선염 환자의 6%만 분리된 항 TG에 대한 양성 반응을 보이므로9  3개의 자가항체 모두에 대한 측정이 권장됩니다. 치료되지 않은 그레이브스병에서는 항 TSH-R 발현율이 가장 높습니다.10 AITD 외에 항 TG 항체는 갑상선암 환자에서도 중요한 생체표지자입니다. 이들 항체는 TG 단백질 수치 측정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11

 

Testing Confidence

테스트로 진단 신뢰도 향상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되는 진단 검사를 추가하면 진단에 대한 신뢰도가 90 %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i,ii 통상적으로, 알레르기성 또는 자가 면역 질환의 진단은 사례 이력 및 신체 검사에 의존합니다. 그러나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되는 진단 검사를 추가하면 진단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i,ii 진단 검사는 또한 환자의 삶의 질과 생산성을 높이고 결근과 관련된 비용을 줄이며 의약품의 사용을 최적화하고 예정되지 않은 의료기관 방문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iii,iv 

i. Duran-Tauleria E, Vignati G, Guedan MJ, et al. The utility of specific immunoglobulin E measurements in primary care. Allergy. 2004;59 (Suppl78):35-41.
ii. NiggemannB, Nilsson M, Friedrichs F. Paediatric allergy diagnosis in primary care is improved by in vitro allergen specific IgE testing. Pediatr Allergy Immunol. 2008;19:325-331
iii. Welsh N, et al. The Benefits of Specific Immunoglobulin E Testing in the Primary Care Setting. J Am Pharm Assoc. 2006;46:627.
iv. Szeinbach SL, Williams B, Muntendam P, et al. Identification of allergic disease among users of antihistamines. J Manag Care Pharm. 2004; 10 (3): 234-238

자가 면역 질환에 대해 알아보기.

테스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갑상선 질환 환자의 관리 및 치료

갑상선 질환 환자의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신속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그레이브스병과 같은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치료 시기를 놓치면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정신질환, 심장질환, 부정맥, 급성 심장사 등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합니다.12 하시모토 질환과 같은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는 삶의 질이 더 나빠집니다. 이 환자는 주로 피로를 경험하지만 체중 증가, 피부 건조증, 추위에 대한 민감성 증가, 근력 저하, 변비, 눈 주위 부종, 쉰 목소리, 기억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13 갑상선기능항진증에 대한 세 가지 치료법은 다음과 같습니다.14

1. 약물 요법
2. 방사성 요오드 요법
3. 수술

때로는 증상을 조절하기 위해 보조 요법이 추가로 필요합니다.14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의 치료는 갑상선 호르몬 대체 요법을 사용합니다.14

임상 지침은 의사가 갑상선 질환을 치료하는 데 도움을 주고 환자 관리를 개선할 수 있도록 마련되었습니다.

참고문헌
  1. Bliddal S, Nielsen CH, Feldt-Rasmussen U. 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autoimmune thyroid disease: the tallest tree in the forest of polyautoimmunity. F1000Res. 2017;6:1776
  2. Tomer Y, Huber A. The Etiology of Autoimmune Thyroid Disease: A Story of Genes and Environment. J Autoimmun. 2009;32(3-4):231–239. 
  3.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Prevalence and Impact of Thyroid Disease. https://www.thyroid.org/media-main/about-hypothyroidism/. Accessed December 2017.
  4. Slatosky J, Shipton B, Wahba H. Thyroiditi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Am Fam Physician. 2000;15;61(4):1047-1052.
  5. Madariaga AG, Palacios SS, Guillén-Grima F.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of Thyroid Dysfunction in Europe: A Meta-Analysis. J Clin Endocrinol Metab. 2014;99(3):923-931. 
  6. Iddah MA, Macharia BN. Autoimmune thyroid disorders. ISRN Endocrinol. 2013;2013:509764.
  7. Mayo Clinic. Hypothyroidism (underactive thyroid).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hypothyroidism/symptoms-causes/syc-20350284.  Accessed December 2017. 
  8. Mayo Clinic. Hyperthyroidism (overactive thyroid).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hyperthyroidism/symptoms-causes/syc-20373659. Accessed December 2017.
  9. Tozzoli R, Villalta D, Kodermaz G, et al. Autoantibody profiling of patients with autoimmune thyroid disease using a new multiplexed immunoassay method. Clin Chem Lab Med. 2006;44:837-842. 
  10. Zöphel K, Roggenbuck D, Schott M. Clinical review about TRAb assay’s history. Autoimmun Rev. 2010; 9:695-700.   
  11. Ringel MD, Nabhan F.  Approach to Follow-Up of the Patient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and Positive Anti-Thyroglobulin Antibodies. J Clin Endocrinol Metab. 2013; 98: 3104-3110.
  12. Girgis CM, et al. Current concepts in Graves’ disease. Ther Adv Endocrinol Metab. 2011. 2(3) 135-144.
  13. Chakera AJ, Pearce SHS, Vaidya B. Treatment for primary hypothyroidism: current approaches and future possibilities. Drug Des Devel Ther. 2012; 6: 1–11.
  14. King R, Ajjan RA. Treatment Modalities in Thyroid Dysfunction. 2012. 10.5772/38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