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자 및 보호자
알레르기 및 자가면역질환
환영합니다. 환자 또는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 위한 컨텐츠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전문의료인입니까?

이 웹사이트의 내용은 전문의료인만을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이 사이트로 접속하면 본인이 전문의료인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입니까?

이 웹사이트의 내용은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만을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이 사이트로 접속하면 본인이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알레르기항원 감작 및 자가면역질환 검사 방법

진단검사는 전문의 뿐만 아니라 일차의료기관을 지원하여 최적의 환자 관리에 필요한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합니다.

알레르기 및 자가면역질환 진단을 지원하는 검사

환자의 임상적 증상이 IgE 매개 알레르기나 자가면역질환과 같은 여러 가지 진단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경우, 검사결과는 진단을 확정하는데 유용한 보조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병력과 더불어 혈액검사를 실시하면 불확실한 진단을 확정하고 해석 및 환자에게 설명하기 쉬운 명확한 결과를 얻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당사의 검사 옵션 찾기

Allergy
알레르기
Autoimmune Disease
자가 면역 질환

90% 증가

감별 진단의 보조 수단으로 진단검사를 추가하면 진단의 신뢰도가 90%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1,2

검사가 중요한 이유

신체검사, 임상적 관찰 및 환자 병력만을 바탕으로 한 진단은 부정확하거나 불완전한 진단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감별 진단의 보조 수단으로 진단검사를 추가하면 진단의 신뢰도가 90%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1,2

진단검사는 환자의 삶의 질과 업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잦은 결근으로 인한 비용을 줄이며, 약물 사용을 최적화하고, 예기치 않은 병원 방문 횟수를 줄여 의료비 지출을 경감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3-5

 

알레르기 검사

특정 알레르기항원에 대한 감작의 결과로 사람의 혈청 및 혈장에 IgE 항체가 나타납니다. 임상 증상과 환자 병력으로 수 많은 증상의 원인을 생각할 수 있지만 진단검사를 통해 그 가능성을 좁히고 진단에 대한 자신감을 높여1,2 환자의 개별적인 요구조건에 맞는 치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진단검사의 이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 모든 알레르기항원에 대한 감작 여부 확인
    3명 중 1명 꼴로 한 가지 이상의 알레르기항원에 감작되며6 최대 80%의 알레르기 환자는 다항원 감작을 경험합니다.7 다른 알레르기 유발 항원에 의한 증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맞춤형 치료 전략이 필요합니다.
  • 적절한 약물 처방
    하나 또는 여러 가지의 알레르기항원 감작을 정확하게 파악하면 항히스타민제나 구급약과 같은 적절한 약물을 처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알레르기 배제 가능
    검사 결과가 음성이면 환자 증상의 원인에서 IgE 매개 알레르기를 모두 배제할 수 있으므로 치료 경로, 약물 선택 및 관리의 방향을 정확하게 설정하는데 도움이 됩니다.1,2
  • 관련 있는 알레르기 유발인자 식별
    증상에 함께 관여하는 서로 관련된 알레르기항원 식별은 알레르기항원을 피하기 위한 종합적인 조언을 하고 환자를 증상 역치 미만으로 유지하기 위한 전제 조건입니다.
  • 지속적인 알레르기 질환 관리
    추적관찰 전략으로서 반복적인 검사는 질병의 발생 및 진행을 추적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환자를 관리함으로써 최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표준화되어 있는 혈액검사로 매우 편리하게 잡초, 나무, 잔디 꽃가루, 식품, 동물 비듬 등과 같은 550가지가 넘는 알레르기항원 및 혼합항원에 대하여 검사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에서 정량적 혈액검사의 이점

체내를 순환하는 IgE 항체의 측정을 통해 알레르기항원에 대한 감작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레르기항원에 대한 IgE 항체 수치가 낮으면 임상적 질환의 가능성이 낮은 반면, 항체 수치가 높으면 임상적 질환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습니다.8

표준화되어 있는 혈액검사로 매우 편리하게 잡초, 나무, 잔디 꽃가루, 식품, 동물 비듬 등과 같은 550가지가 넘는 알레르기항원 및 혼합항원에 대하여 검사할 수 있습니다. 검사 방법이 간단하고 연령, 피부 상태, 항히스타민제 사용여부 또는 임신 여부와 관계없이 수행할 수 있습니다.9-12

교차반응(Cross-Reactivity)

교차반응의 가능성은 알레르기 진단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교차반응은 IgE 항체가 출처는 다르지만 유사한 알레르기성 단백질에 결합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현상입니다.13

교차반응 항체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은 실제로 감작되어 나타나는 증상과 구별할 수 없습니다. 교차반응 성분에 감작을 보이는 환자는 계속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경증에서 중등도의 증상이지만, 일차적으로 감작된 원인을 결정함으로써 환자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교차반응 성분항원에 대한 감작 패턴은 어떻게 원인을 찾아낼지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꽃가루와 식품 간의 교차반응(PFAS 또는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OAS))14

생사과, 복숭아, 핵과류, 당근, 땅콩, 헤이즐넛 등에 들어 있는 단백질 중 하나가 자작나무 꽃가루에 있는 주요 알레르기항원과 구조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자작나무 꽃가루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이러한 과일이나 견과류 섭취 후에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환경 속

알레르기항원

과일

채소

견과류

향신료

기타

식품

나무 꽃가루

(대표적으로 자작나무 및 오리나무)

사과, 살구, 체리, 키위, 리치, 천도복숭아, 배, 자두, 복숭아, 말린 자두, 감, 딸기

콩, 당근, 셀러리, 피망, 감자, 토마토, 파스닙, 완두콩

아몬드, 헤이즐넛, 호두

아니스, 바질, 캐러웨이, 고수, 커민, 딜, 펜넬 마조람, 오레가노, 파프리카, 파슬리, 후추, 타라곤, 타임

렌틸콩, 땅콩, 대두, 해바라기씨

잔디

대추, 키위, 멜론, 오렌지, 토마토, 수박

완두콩, 감자

   

땅콩

(유럽과 아시아에서 더 흔함)

사과, 멜론, 오렌지, 복숭아, 토마토, 수박

당근, 셀러리, 피망, 양파, 파스닙

 

아니스, 바질, 캐러웨이, 고수, 딜, 펜넬 마조람, 겨자, 오레가노, 파프리카, 파슬리, 후추, 타라곤, 타임

카모마일, 해바라기씨

돼지풀

(가을에 수분함)

바나나, 멜론(칸탈루프, 감로), 수박

오이, 서양 호박

     
 

 

조개류 간의 교차반응14

갑각 조개류(새우, 바닷가재, 게, 가재) 간에는 교차반응의 정도가 높습니다. 다른 갑각 조개류에도 알레르기가 발생할 위험은 75%입니다. 갑각 조개류와 대합조개, 굴, 가리비, 홍합과 같은 비갑각 조개류(연체동물류) 간의 교차반응 위험은 이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 주목할 만한 점은 tropomyosin이라고 불리는 교차 반응 위험 단백질이 집먼지 진드기와 갑각 조개류의 chitin(조개류와 곤충의 외골격 구성 성분)과 교차 반응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임상 증상이 전혀 없는데도 갑각류의 검사 결과가 양성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라텍스와 식품 간 교차반응14

라텍스에 대한 IgE 매개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의 약 30 ~ 50%는 일부 과일에 대해서도 교차반응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을 경험합니다. 이와 관련되어 가장 흔한 과일은 바나나, 아보카도, 키위, 밤입니다. 라텍스에 들어있는 몇 가지 단백질이 라텍스-과일 증후군에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 중 2가지는 식물 방어 단백질(plant defence protein)입니다. N-terminal hevein-like domain을 포함한 class chitinase는 NRL(Natural Rubber Latex) 알레르기의 주요 알레르기 항원인 hevein(Hev b 6.02)과 교차 반응합니다. beta-1,3-glucanase는 피망의 단백질과 교차반응을 보이는 중요한 라텍스 알레르기항원으로 확인되었습니다.15

 

땅콩과 견과류 또는 씨앗류 간 교차반응16

땅콩과 견과류 알레르기는 종종 치명적인 아나팔락시스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알레르기가 사라지지 않고 평생 지속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땅콩 알레르기가 상대적으로 더 흔하게 관찰되지만 많은 환자들이 땅콩과 견과류 모두에 과민 반응이 나타납니다. 땅콩은 콩과 식물로 견과류는 아니지만, 땅콩 알레르기가 있는 소아의 약 35%에서 견과류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동반 알레르기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교차반응으로 인한 땅콩과 견과류 간의 연관성을 조사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호두와 피칸, 그리고 헤이즐넛은 교차 반응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견과류 그룹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헤이즐넛, 캐슈넛, 브라질넛, 피스타치오, 아몬드 등은 교차 반응의 가능성이 중간 정도인 견과류 그룹입니다.

어떤 단백질이 문제일까요?

단백질의 안정성과 불안정성 그리고 알레르기항원 원료 내에 함유된 단백질의 양이 매우 중요한 두 가지 핵심 요소입니다.

안정성: 식물에 존재하는 성분항원의 단백질군은 안정성을 기준으로 등급이 결정됩니다. 같은 단백질군에 속하면 안정성의 정도가 같습니다. 예를 들어, storage protein군은 매우 안정적인 단백질입니다. 반면에 프로필린과 PR-10 군에 속하는 단백질은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단백질입니다.15

불안정성: 불안정한 단백질은 가공 또는 조리 과정에서, 타액이나 장관 내 효소에 의해 쉽게 파괴되므로, 섭취했을 때 주로 국소 반응을 유발합니다. 반면 안정적인 단백질은 거의 손상되지 않은 형태로 체내의 순환계에 도달하기 때문에 전신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5

교차반응 단백질은 매우 광범위하게 존재하며 상당히 다양한 알레르기항원에 공통적으로 들어있을 수 있습니다. 종간 교차반응에 대하여 이해하는 것은 예를 들어 꽃가루 식품 알레르기 증후군(PFAS, Pollen-Food Allergy Syndrome)에서 관찰되는 것과 같은 중복 감작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단백질 안정성

자가면역질환 검사

자가항체는 자가면역(AI) 질환에 특이적인 표지자가 될 수 있으며 진단에 중요한 요소이나, 종종 과소평가되고 판단이 어렵습니다. 여러 장기에 영향을 미치는 자가면역질환은 매우 다양한 징후 및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중증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모호하고 서서히 진행되는 징후 및 증상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잘못된 진단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환자의 임상 증상이 다양한 진단 가능성을 내포하는 경우 진단검사를 통해 여러 가지 자가면역질환을 고려하거나 배제할 수 있어 환자에게 필요한 치료를 선택하는 데 유용한 수단을 제공합니다. 올바른 진단검사는 초기 증상 발현부터 진단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는 의사와 환자가 장기간의 병원 방문, 비효율적인 치료 및 좌절감을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올바른 검사의 요청을 통해 비용을 줄이고 진단 및 검사 의뢰 과정을 개선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자가면역질환의 진단에서 혈액 검사의 이점

특정 자가면역질환의 의심되는 경우 진단검사는 진단을 확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자가면역질환의 생물표지자 확인에 혈청학적 검사를 사용하면 환자에게 시기 적절하고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데 도움이 되며, 이를 통해 환자에게 질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는 가능성과 증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진단 과정에 검사를 포함해야 하는 또 다른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자가항체의 조기 검출 조기 진단 및 중재는 일부 자가면역질환에서 질병의 진행을 늦추거나 심지어 멈추게 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류마티스 관절염(RA)의 경우, 특정 자가항체가 개별적으로 혹은 병행 존재하는지 검출하는 것은 질병의 확진 가능성을 높입니다.17 혈청학적 검사는 자가항체를 조기에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특이적이어서 조기 진단과 신속한 치료에 도움을 줍니다.

2. 진단 범위 확대 현재 면역분석법은 결합조직질환(CTD), 류마티스 관절염(RA), 셀리악병(CD) 등의 글루텐 관련 질환(GRD), 갑상선 질환, 간 질환, 항인지질증후군(APS), 혈관염 등의 자가면역질환과 관련된 자가항체를 검출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수 십 가지의 전자동 분석이 가능하며 새로운 검사 방법이 꾸준히 추가되고 있습니다.

3. 침습적 진단 절차의 최소화 검사를 활용하면 진단 과정을 탐색 과정에서 벗어나 더욱 정밀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D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표지자가 나타납니다. CD 진단에 검사 결과를 포함시키면, 비용이 높고 불편한 소장 생검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특히 시술 중에 마취를 해야 하는 소아의 경우에 도움이 됩니다. 생검은 결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걸리므로 최종 진단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자가면역질환의 진단에서 민감도와 특이도의 역할18

하나의 assay 내에서 또는 여러 assay의 조합을 통해서 민감도와 특이도 간의 올바른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환의 진단 또는 검사 능력은 검사의 차별적 값과 관심 모집단의 질환 유병률에 달려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자가면역질환은 유병률이 낮습니다. 유병률이 낮은 질환을 검사할 때에는 임상 특이도가 높은 진단 검사를 통해 위양성 결과가 최소한이 되도록 하면서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높은 특이도를 갖는 표지자는 단 하나의 질병에 대해서만 나타납니다(예: CCP 항체). CCP 항체에 대한 양성 결과는 RA에 특이적인 표지자이며 많은 경우 이를 사용하여 조기 진단이 가능합니다.
  • 민감도가 높은 표지자는 특정 질병을 가진 모든 환자 또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검출 가능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Tissue transglutaminase에 대한 항체는 민감도가 높은 CD 표지자입니다.
  • 어떤 질병의 표지자는 민감도가 높을 수 있지만 특이도는 그렇게 높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로써 Cardiolipin에 대한 항체는 APS의 표지자이지만 다른 질병에서도 검출될 수 있습니다.
  • 어떤 질병의 표지자는 특이도가 매우 높지만 민감도는 낮을 수 있습니다. 예로써 Sm에 대한 항체는 SLE 환자의 10 ~ 30%에서만 발견되지만 다른 질병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습니다.

임상적 가치가 높은 검사 결과는 임상 결정의 기초이며 의사가 일상적인 진단 결정을 내릴 때 필요로 하는 임상 진단 성공의 열쇠입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EliA 분석의 높은 양성예측률(PPV, Positive Predictive Value)와 우도 비율(Likelihood Ratio)이 임상적 유용성을 보장하는 우수한 값을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재조합 유전자 기술과 같은 첨단 기술을 사용하여 표준화되고 정확하며 신뢰할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한 최신 진단 테스트를 개발합니다. 자가항체 검사의 수준을 최상으로 유지하려면 순도가 매우 높고 구조적으로 정확한 항원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사는 항원성을 증가시켜 민감도와 특이도를 높일 때마다 인체 재조합 단백질과 합성 펩타이드를 사용합니다.

물론 환자의 병력 및 임상 소견의 맥락에서 결과를 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자가면역질환이 나타날 수 있는 원인

자가면역질환의 종류는 120가지가 넘으며,19 그 중 일부는 서로 증상이 유사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특징은 염증이지만 질환에 따라 증상이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심지어 동일한 질환의 경우에도 환자마다 증상이 다를 수 있습니다. AI 질환은 여러 장기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증상이 오인되어 정확한 진단을 받기까지의 과정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검사법 자세히 알아보기
 

자가면역질환 검사법 자세히 알아보기

참고문헌
  1. Duran-Tauleria E, Vignati G, Guedan MJ, et al. The utility of specific immunoglobulin E measurements in primary care. Allergy. 2004;59 (Suppl 78):35-41.
  2. Niggemann B, Nilsson M, Friedrichs F. Paediatric allergy diagnosis in primary care is improved by invitro allergen specific IgE testing. Pediatr Allergy Immunol. 2008;19:325-331
  3. Welsh N, et al. The Benefits of Specific Immunoglobulin E Testing in the Primary Care Setting. J Am Pharm Assoc. 2006;46:627.
  4. Szeinbach SL, Williams B, Muntendam P, et al. Identification of allergic disease among users of antihistamines. J Manag Care Pharm. 2004; 10 (3): 234-238.
  5. Szeinbach SL, Seoane-Vazquez EC, Beyer A, Williams PB. The impact of allergic rhinitis on work productivity. Prim Care Respir J. 2007;16(2):98-105.
  6. Pawankar R, at el. World Allergy Organization. White Book on Allergy (WAO). 2011. http://www.worldallergy.org/UserFiles/file/WAO-White-Book-on-Allergy_web.pdf. Accessed December 2017.
  7. Migueres M, et al. T Clin Trans Allergy. 2014;4:16.
  8. Yunginger JW,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2000;105(6pt1):1077-1084.
  9. Siles RI, Hsieh FH. Clev Clin J Med. 2011;78(9):585-592.
  10. Bonnelykke K, Pipper CB, Bisgaard H. J Allergy Clin Immunol. 2008;121(3):646-651.
  11. Belhocine W, et al. Pediatr Allergy Immunol. 2011;22:600-607.
  12. Bacharier LB, et al. Allergy. 2008;63(1):5-34.
  13. Popescu, FD. Cross-Reactivity between Aeroallergens and Food Allergens. World J Methodol. 2015;5(2):31-50.
  14. American Academy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https://www.aaaai.org/conditions-and-treatments/library/allergy-library/outdoor-allergies-and-food-allergies-can-be-relate. Accessed January 2018.
  15. Molecular Allergology Users Guide. European Academy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16. http://www.eaaci.org/documents/Molecular_Allergology-web.pdf
  16. Lopata Al, Oheihir RE, Lehrer SB. Shellfish Allergy. Clin Exp Allergy. 2010;40:850-858
  17. Bas S, et al. Anti-cyclic citrullinated peptide antibodies, IgM and IgA rheumatoid factors in the diagnosis and prognosis of rheumatoid arthritis. Rheumatology. 2003;42:677–680
  18. McGee DL. Understanding Medical Tests and Test Results. http://www.merckmanuals.com/professional/special-subjects/clinical-decision-making/understanding-medical-tests-and-test-results. Accessed December 2017.
  19. American Autoimmune Related Diseases Association. https://www.aarda.org/news-information/statistics/#1488234345468-3bf2d325-1052. Accessed November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