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자 및 보호자
알레르기 및 자가면역질환
환영합니다. 환자 또는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 위한 컨텐츠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전문의료인입니까?

이 웹사이트의 내용은 전문의료인만을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이 사이트로 접속하면 본인이 전문의료인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입니까?

이 웹사이트의 내용은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만을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이 사이트로 접속하면 본인이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알레르기 질환의 이해

알레르기는 꽃가루나 식품과 같이 일반적으로는 해롭지 않은 물질에 대한 과민성 면역반응으로 정의됩니다. 

 알레르기에 관하여

알레르기란 무엇입니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꽃가루나 특정 식품과 같은 물질(알레르기항원)은 아무런 문제도 일으키지 않습니다. 하지만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서는 면역체계가 이러한 물질을 위협으로 파악하여 적절하지 않은 반응을 유발합니다.1

 최대 80%의  알레르기 환자가 두 가지 이상의 알레르기항원에 감작되어 있기 때문에 알레르기 질환의 증상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두 가지 이상의 알레르기에 기인할 수도 있습니다.2

알레르기 유형 살펴보기

Food Allergies
식품
Respiratory Allergies
호흡기
Eczema
습진
Urticaria
두드러기
Animal Allergies
동물
Venom Allergy
벌독
Drug Allergy
의약품
Latex Allergy
라텍스
Chronic Otitis Media
중이염
Mastocytosis
비만 세포증

최대 80%

최대 80%의 알레르기 환자가 두 가지 이상의 알레르기항원에 감작되어 있습니다.2

 

수 백 가지의 평범한 물질들이 알레르기 반응의 원인 또는 유발인자가 될 수 있습니다.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가장 흔한 물질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식물 꽃가루
  • 식품
  • 곤충의 독
  • 곰팡이
  • 집먼지 진드기
  • 동물 비듬
  • 약물



알레르기 질환 관리의 핵심은 노출 감소 그리고/또는 회피이며 그 결과로 증상 유발인자를 감소시키는 것입니다.


 


일상화된 진단 검사

알레르기 식별 및 관리는 기존 다른 질병의 관리와 유사한 과정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1. 병력과 신체 검사. 모든 의학적 문제 해결의 첫 번째 단계는 병력과 신체 검사에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2. IgE 감작 확인을 위한 검사. 두 번째 단계는 감작을 유발하는 알레르기항원과 그 발원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 단계는 알레르기의 진단 및 임상적 관리에 매우 중요합니다. 알레르기 진단의 보조 수단으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특이 IgE 검사는 환자의 알레르기 관리에도 사용할 수 있는 정량가능한 결과를 제공하는 객관적인 도구입니다.3,4 특이 IgE 검사는 당뇨병이나 고콜레스테롤혈증 관리를 위해 일상적으로 의뢰하는 일련의 검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무리없이 검사 목록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3. 표적 관리 세 번째 단계는 표적 관리입니다. 환자별 고유한 유발인자가 확인되면 약물 또는 비약물 옵션을 포함한 표적화된 관리 접근법을 사용하여 환자에게 고유한 유발인자 패턴 및 연관된 증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3,4

 

환자의 알레르기 유발인자 식별이 중요한 이유

  • 알레르기 천식 및 알레르기 비염 관리에 필수
  • 불필요한 약물 사용 방지 및 병원 방문 횟수 감소
  • 최적화된 치료 제공 및 건강의 위험 요소 관리
  • 직장과 학교에서의 결근이나 결석 및 생산성 저하와 관련된 비용 절감

 

특정 알레르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특이 IgE 검사에 대해 알아보기

참고문헌

 

  1. Pawankar R, Holgate S, Canonica G, at el. World Allergy Organization. White Book on Allergy (WAO). 2011. http://www.worldallergy.org/UserFiles/file/WAO-White-Book-on-Allergy_web.pdf. Accessed December 2017.
  2. Ciprandi G, Alesina R, Ariano R, et 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allergic polysensitization: the POLISMAIL study. Eur Ann Allergy Clin Immunol. 2008;40(3):77-83
  3. House of Lords. Science and Technology sixth report- the extent and burden of allergy in the United Kingdom. http://www.bsaci.org/pdf/HoL_science_report_vol.1.pdf. Accessed December 2017.
  4. Pearce L. Managing allergic rhinitis. Nursing Times. 2012;108(17):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