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자 및 보호자
알레르기 및 자가면역질환
환영합니다. 환자 또는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 위한 컨텐츠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전문의료인입니까?

이 웹사이트의 내용은 전문의료인만을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이 사이트로 접속하면 본인이 전문의료인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입니까?

이 웹사이트의 내용은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만을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이 사이트로 접속하면 본인이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콩 알레르기: 개요, 진단 및 치료

콩 알레르기에 관하여

콩은 8대 식품 알레르기항원 중 하나로 인식되며 콩 알레르기는 일반적으로 소아기에 나타납니다.1 약 0.4%의 소아에게 콩 알레르기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소아 환자 중 약 70%는 만 10세가 될 때까지 콩 알레르기가 사라질 가능성이 높습니다.2,3 성인의 콩 알레르기 반응은 드물어서 성인의 콩 알레르기 유병률은 일반 인구의 0.5% 미만으로 추정됩니다.1,4

콩에 대한 식품 알레르기는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어린 소아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식단에서 콩을 제거하고 1~2년 후에는 콩 알레르기가 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2,5,6  콩에 의해 유발되는 알레르기 증상(피부, 호흡기, 위장관 증상이 흔함)은 아토피 피부염 뿐만 아니라 치명적인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한 중증 전신 반응도 보고됩니다.1,4,6 그러나 콩에 의해 유발되는 아나필락시스는 매우 드뭅니다.

콩은 8대 식품 알레르기항원 중 하나로 인식되지만, 콩에 대해서만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경우는 드물고 여러 가지 식품 및 자작나무 꽃가루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에게서 종종 콩 알레르기가 발견됩니다.1

소아 환자의 70%

소아 환자의 약 70%는 만 10세가 되기 전까지 콩 알레르기가 사라질 가능성이 높습니다.2,3

흔한  콩 유발 알레르기 증상:1,4,6

  • 피부 증상
  • 호흡기 증상
  • 위장관 증상
  • 아나필락시스(그러나 콩으로 인한 아나필락시스는 매우 드묾) 1

콩 알레르기만 발생하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 콩 알레르기가 있는 어린이의 88%는 땅콩 알레르기도 있습니다.1

콩 알레르기 진단: 감별진단을 위한 검사    

모든 식품 알레르기와 마찬가지로 콩 알레르기 진단은 신체 검사로 시작되며, 특히 식품 알레르기에 중점을 둔 환자 병력의 확인이 매우 중요합니다.7,8

환자 병력 확인 결과는 필요한 검사와 결과 해석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체계적인 접근법은 특이 IgE 정량검사와 같은 검사실 결과와 더불어 보고된 식품 알레르기 병력이 식품 알레르기를 진단하기에 충분한지 또는 경구식품유발검사(oral food challenge)를 고려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누가 검사를 받아야 합니까?

많은 가공식품에는 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콩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을 미리 식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2 콩 단백질은 소아의 가장 흔한 식품 알레르기항원 중 하나이면서 우유 알레르기가 있는 영아에게 중요한 영양 공급원이기도 합니다.2 따라서 콩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가 콩을 피하기는 쉽지 않습니다.2

콩 알레르기만 발생하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 콩 알레르기가 있는 어린이의 88%는 땅콩 알레르기도 있습니다.1 또한 아토피 어린이 중 약 6%와 우유 알레르기가 있는 영아 중 10~14%는 콩 알레르기도 함께 앓고 있습니다. 1

알고리즘을 보려면 클릭하십시오10

식품 알레르기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 대한 평가는 철저한 병력 및 신체 검사로부터 시작됩니다. 임상 병력에서 IgE 매개 식품 알레르기가 의심되면 확실한 진단을 위해 피부단자검사 또는 특이 IgE 정량검사가 필요합니다.    

콩 알레르기와 삶의 질

콩 알레르기를 포함한 식품 알레르기는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1  많은 연구에서 식품 알레르기가 건강 관련 삶의 질(HRQoL)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물론,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재정적, 정서적 부담에 대해 자세히 논하고 있습니다.9  연구에서 확인된 문제에는 식단으로 인한 차별감, 음식에 대한 걱정, 신체적 및 정서적 억압, 가중된 책임감, 사회 활동(사교의 제한, 학교, 여행, 외식)에 미치는 영향, 불안, 스트레스, 따돌림, 지속적인 주의 등이 포함됩니다.9

숨겨진 콩 알레르기항원

콩은 가공식품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어 콩을 완전히 피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12 콩은 거의 제한없이 사용되기 때문에 은밀하게 영향을 주는 숨겨진 알레르기항원으로 작용합니다.12

콩은 "텍스처라이저(texturizer)", 유화제 및 단백질 충전제를 포함하여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식품 제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12 대부분의 빵은 콩가루를 포함하고 있으며 패스트리, 케이크, 비스킷 및 이유식도 마찬가지입니다.12 콩가루는 소시지, 가공육, 햄버거 및 기타 육류 제품을 제조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12 또한 콩은 채식인용 식품과 병원 및 군대 음식 서비스, 수유 프로그램을 포함한 음식 공급 시설에서 인기있는 채식인용 육류 대용품입니다.2,12 콩이 함유된 기타 식품에는 퓨레로 만든 이유식, 시리얼 이유식, 마가린 등이 있습니다. 12

Testing Confidence

테스트로 진단 신뢰도 향상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되는 진단 검사를 추가하면 진단에 대한 신뢰도가 90 %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i,ii 통상적으로, 알레르기성 또는 자가 면역 질환의 진단은 사례 이력 및 신체 검사에 의존합니다. 그러나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되는 진단 검사를 추가하면 진단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i,ii 진단 검사는 또한 환자의 삶의 질과 생산성을 높이고 결근과 관련된 비용을 줄이며 의약품의 사용을 최적화하고 예정되지 않은 의료기관 방문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iii,iv 

i. Duran-Tauleria E, Vignati G, Guedan MJ, et al. The utility of specific immunoglobulin E measurements in primary care. Allergy. 2004;59 (Suppl78):35-41.
ii. NiggemannB, Nilsson M, Friedrichs F. Paediatric allergy diagnosis in primary care is improved by in vitro allergen specific IgE testing. Pediatr Allergy Immunol. 2008;19:325-331
iii. Welsh N, et al. The Benefits of Specific Immunoglobulin E Testing in the Primary Care Setting. J Am Pharm Assoc. 2006;46:627.
iv. Szeinbach SL, Williams B, Muntendam P, et al. Identification of allergic disease among users of antihistamines. J Manag Care Pharm. 2004; 10 (3): 234-238

테스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550 개 이상의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학술 정보를 얻으십시오.

콩 알레르기 환자의 관리 및 치료

알레르기성 식품을 철저하게 피하는 것은 콩을 포함한 식품 알레르기 환자 관리를 위한 가장 핵심적인 방법입니다.13 이는 간단한 것처럼 보이지만, 콩 성분이 수많은 식품에 숨겨져 있기 때문에 완전한 회피는 쉽지 않습니다.12,13

콩 알레르기 환자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으로 항상 식품 라벨 읽기, 교차 접촉 방지, 보호자에게 반응의 중증도 및 치료에 대한 예상 안내 제공, 외식할 때 환자 또는 보호자가 식당 직원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기 등이 있습니다.13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조 방식이 변하기 때문에 라벨 읽기에 대한 지속적인 경계가 필요합니다.13

콩을 포함한 식품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의 관리와 치료에 도움을 주기 위해 진료지침이 개발되었습니다.

참고문헌
  1. Masilamani M, Commins S, Shreffler W. Determinants of Food Allergy. Immunol Allergy Clin North Am. 2012 February; 32(1): 11–33.
  2. Savage JH et al. The natural history of soy allergy. J Allergy Clin Immunol. 2010 Mar;125(3):683-6. 
  3. Abrams EM, Sicherer SH. Diagnosis and management of food allergy. CMAJ. 2016 Oct 18; 188(15): 1087–1093.
  4. Kleine-Tebbe J et al. Severe oral allergy syndrome and anaphylactic reactions caused by a Bet v 1– related PR-10 protein in soybean, SAM22. J Allergy Clin Immunol. 2002 Nov;110(5):797-804.
  5. Mittag D et al. Soybean allergy in patients allergic to birch pollen: Clinical investiga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llergens. J Allergy Clin Immunol. 2004 Jan;113(1):148-54.
  6. Holzhauser T et al. Soybean (Glycine max) allergy in Europe: Gly m 5 (b-conglycinin) and Gly m 6 (glycinin) are potential diagnostic markers for severe allergic reactions to soy. J Allergy Clin Immunol. 2009 Feb;123(2):452-8. 
  7. Kurowski K, Boxer RW. Food allergies: detection and management. Am Fam Physician. 2008;77:1678-1688. 
  8. Burks AW, Tank M, Sicherer S, et al. ICON: Food allergy. J Allergy Clin Immunol. 2012;129:906-920. 
  9. Sicherer SH, Sampson HA. Food allergy: A review and update on epidemiology, pathogenesis, diagno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J Allergy Clin Immunol. 2018 Jan;141(1):41-58.
  10. Kattan JD, Sicherer SH. Optimizing the diagnosis of food allergy. Immunol Allergy Clin North Am. 2015 Feb;35(1):61-76. doi: 10.1016/j.iac.2014.09.009. Epub 2014 Nov 21. PMID: 25459577; PMCID: PMC4644667.
  11. Antolín‐Amérigo et al.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food allergy. Clin Mol Allergy. 2016;14:4.
  12. Steinman HA. "Hidden" allergens in foods. J Allergy Clin Immunol. 1996 Aug;98(2):241-50.
  13. Bird JA, Lack G, Perry TT. Clinical Management of Food Allergy. J Allergy Clin Immunol Pract. 2015 Jan-Feb;3(1):1-11; quiz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