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자 및 보호자
알레르기 및 자가면역질환
환영합니다. 환자 또는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 위한 컨텐츠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전문의료인입니까?

이 웹사이트의 내용은 전문의료인만을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이 사이트로 접속하면 본인이 전문의료인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입니까?

이 웹사이트의 내용은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만을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이 사이트로 접속하면 본인이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만성 중이염: 개요, 진단 및 치료

만성 중이염에 관하여

만성 장액성 중이염(CSOM)은 1~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보고된 천공이 없는 중이 삼출로 정의됩니다.1

만성 장액성 중이염의 대부분의 문제는 감염과 관련이 있지만, 알레르기 감작은 이 질환 재발의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만성 장액성 중이염 환자의 약 20%는 이 질환에 기여하는 기저 알레르기가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2 또한 만성 중이염과 알레르기 질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습니다.3

불행히도 동반 알레르기로 인해 삼출성 중이염(OME)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알레르기 환자의 최대 80%가 2가지 이상의 알레르기항원에 감작이 유발되기 때문에 OME의 진단과 치료가 더욱 어려워집니다.4

환자에게 나타나는 증상에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이면 관련 감작 알레르기항원을 파악할 수 있는 검사를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를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식별된 알레르기항원을 회피하여 환자를 증상 역치 미만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포괄적인 관리 계획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환자의 20% 

만성 중이염 환자의 약 20%는 기저 알레르기 질환을 가지고 있습니다.2

만성 중이염은 일반적으로 장기적인 또는 잦은 귀 관련 문제를 앓고 있는 환자에서 수 년에 걸쳐서 점진적으로 발생합니다. 만성 중이염의 경고 징후는 다음과 같습니다.5

  • 지속적인 귀 막힘
  • 난청
  • 만성 귀 분비물
  • 균형 감각 이상
  • 안면 근육 약화
  • 지속적인 귀 심부 통증 또는 두통
  • 발열
  • 혼돈 또는 졸림
  • 분비물 또는 귀 뒤쪽 부종

중이염은 심한 통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치료 시기를 놓치면 영구적인 청력 장애를 포함한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환자의 경우 만성 중이염의 기저 원인에 따라 장기적인 관리 계획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15,16

만성 중이염 환자의 알레르기 진단: 감별진단을 위한 검사

알레르기에 중점을 둔 환자의 병력6 을 통해 환자의 발병 이력을 보다 자세하게 파악하여 환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에 중점을 둔 환자 병력 조사 결과에 따라, 가장 적절한 다음 단계로 알레르기 검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특이 IgE 혈액 정량검사, 피부단자검사(SPT) 또는 이 두 가지 검사 모두 중요한 진단 방법입니다. 피부단자검사와 특이 IgE 혈액 정량검사는 알레르기항원 감작 가능성을 고려하거나 배제하는 데 도움을 주며, 이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임상 관리의 개선이 가능합니다.7,8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알레르기항원 감작 검사로 환자 병력을 보완해야 합니다.9

누가 검사를 받아야 합니까?

환자에게 특정 증상이 나타날 때 특이 IgE 혈청 정량검사를 고려해야 하는 몇 가지 타당한 이유가 있습니다. 알레르기 질환과 유스타키오관 기능부전:10,11

  • 염증 증가
  • 장액 생산 증가
  • 감염되기 쉬운 환경 제공
     

증상 역치

알레르기 환자의 최대 80%는 2가지 이상의 알레르기항원에 감작됩니다.12 그 영향은 누적됩니다. 각 환자에게는 여러 유발인자가 있을 수 있으며 이들 인자가 복합적으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3,14 알레르기항원의 증상 역치는 증상을 유발하기 시작하는 누적된 알레르기항원 부하의 수치입니다.13,14

만성 중이염과 삶의 질

지속적인 만성 장액성 중이염 또는 재발성 급성 중이염은 중이에 해로운 변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청력 소실 또는 청각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데, 만약 자녀의 중요한 성장 시기에 발생할 경우 언어와 말하기 능력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1

흔한 알레르기항원

특이 IgE 혈청학적 검사는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에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만성 중이염이나 기타 알레르기 증상이 있으면 누구나 특이 IgE 혈액 검사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 누적을 유발하는 일반적인 알레르기항원은 다음과 같습니다.10

  • 꽃가루
  • 집먼지 진드기
  • 동물 비듬
  • 우유
  • 곰팡이
  • 바퀴벌레
  • 계란

Testing Confidence

테스트로 진단 신뢰도 향상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되는 진단 검사를 추가하면 진단에 대한 신뢰도가 90 %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i,ii 통상적으로, 알레르기성 또는 자가 면역 질환의 진단은 사례 이력 및 신체 검사에 의존합니다. 그러나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되는 진단 검사를 추가하면 진단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i,ii 진단 검사는 또한 환자의 삶의 질과 생산성을 높이고 결근과 관련된 비용을 줄이며 의약품의 사용을 최적화하고 예정되지 않은 의료기관 방문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iii,iv 

i. Duran-Tauleria E, Vignati G, Guedan MJ, et al. The utility of specific immunoglobulin E measurements in primary care. Allergy. 2004;59 (Suppl78):35-41.
ii. NiggemannB, Nilsson M, Friedrichs F. Paediatric allergy diagnosis in primary care is improved by in vitro allergen specific IgE testing. Pediatr Allergy Immunol. 2008;19:325-331
iii. Welsh N, et al. The Benefits of Specific Immunoglobulin E Testing in the Primary Care Setting. J Am Pharm Assoc. 2006;46:627.
iv. Szeinbach SL, Williams B, Muntendam P, et al. Identification of allergic disease among users of antihistamines. J Manag Care Pharm. 2004; 10 (3): 234-238

테스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550 개 이상의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학술 정보를 얻으십시오.

만성 중이염 환자의 관리 및 치료

기저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만성 중이염 환자에게 알레르기 유발인자에 대한 노출을 줄이는 방법과 가장 적절한 장기적인 치료법을 결정합니다. 중이염은 심한 통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치료 시기를 놓치면 영구적인 청력 장애를 포함한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환자의 경우 만성 중이염의 기저 원인에 따라 장기적인 관리 계획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15,16  알레르기 진단과 만성 중이염이 동반되는 경우 잠재적 유발인자를 회피하는 것만으로도 효과적인 관리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10

중이염 환자의 관리와 치료에 도움을 주기 위해 진료지침이 개발되었습니다.


만성 중이염과 동반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 알레르기 유발인자에 대한 노출과 장기 요법의 식별은 연령 및 이전에 진단된 알레르기를 포함한 위험 요소에 대한 평가에 기반해야 합니다.9

Practice Parameters

진료지침 및 가이드라인

만성 중이염용

참고문헌
  1. Qureishi A, Lee Y, Belfield K, Birchall JP, Daniel M. Update on otitis media – prevention and treatment. Infection and Drug Resistance. 2014;7:15-24. doi:10.2147/IDR.S39637.
  2. Tomonaga, K, Kurono, Y, Mogi, G. The role of nasal allergy in otitis media with effusion. A clinical study. Acta Otolaryngol Suppl. 1988;458:41-47.

  3. Passali D, Passali GC, Lauriello M, Romano A, Bellussi L, Passali FM. Nasal Allergy and Otitis Media: A real correlation? Sultan Qaboos University Medical Journal. 2014;14(1):e59-e64.
  4. Ciprandi G, Alesina R, Ariano R, et 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allergic polysensitization: the POLISMAIL study. Eur Ann Allergy Clin Immunol. 2008;40(3):77-83. 
  5. https://www.umms.org/ummc/health-services/hearing-balance/services/ear-infections
  6. Pawankar R, Holgate S, Canonica G, at el. World Allergy Organization. White Book on Allergy (WAO). 2011. http://www.worldallergy.org/UserFiles/file/WAO-White-Book-on-Allergy_web.pdf. Accessed December 2017. 
  7. Duran-Tauleria E, Vignati G, Guedan MJ, et al. The utility of specific immunoglobulin E measurements in primary care. Allergy. 2004;59 (Suppl 78):35-41. 
  8. Niggemann B, Nilsson M, Friedrichs F. Paediatric allergy diagnosis in primary care is improved by invitro allergen specific IgE testing. Pediatr Allergy Immunol. 2008;19:325-331.  
  9. Smith HE, Hogger C, Lallemant C, et al. Is structured allergy history sufficient when assessing patients with asthma and rhinitis in general practice? J Allergy Clin Immunol. 2009;123:646-650.
  10. Zernotti ME, et al. Otitis media with effusion and atopy: is there a causal relationship? World Allergy Organ J. 2017; 10(1):37  
  11. Fireman P. Otitis media and eustachian tube dysfunction: connection to allergic rhinitis. J Allergy Clin Immunol. 1997 Feb;99(2):S787–S797
  12. Ciprandi G, Alesina R, Ariano R, et 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allergic polysensitization: the POLISMAIL study. Eur Ann Allergy Clin Immunol. 2008;40(3):77-83.
  13. Eggleston PA. Control of environmental allergens as a therapeutic approach. lmmunol Allergy Clin North Am. 2003;23(3):533-547. 
  14. Wickman M. When allergies complicate allergies. Allergy. 2005;60 (suppl 79):14-18.  
  15. Döner R, Yariktas M, Demirci M. The role of allergy in recurrent otitis media with effusion. J Investig Allergol Clin Immunol. 2004;14(2):154-8.
  16. World Health Organization: Chronic suppurative otitis media Burden of Illness and Management Options. http://www.who.int/pbd/publications/Chronicsuppurativeotitis_media.pdf. Accessed April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