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자 및 보호자
알레르기 및 자가면역질환
환영합니다. 환자 또는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 위한 컨텐츠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전문의료인입니까?

이 웹사이트의 내용은 전문의료인만을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이 사이트로 접속하면 본인이 전문의료인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입니까?

이 웹사이트의 내용은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만을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이 사이트로 접속하면 본인이 진단검사의학 관련 의료인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아토피 피부염: 개요, 진단 및 치료

아토피 피부염에 관하여

습진은 임상적으로 광범위한 증상이 나타나는 복잡한 염증성 피부 질환입니다.1 습진이란 불특정한 피부염과 동의어로 종종 가장 흔한 유형의 습진인 아토피 피부염(AD)을 지칭하는 데 사용됩니다. 알레르기 습진 또는 아토피 습진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소아 인구의 약 20%, 성인 인구의 최대 3%에 영향을 줍니다.2

AD는 보통 유아기에 시작되며 아토피 행진(atopic march)의 초기 단계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3 습진으로 인한 피부 장벽 기능장애는 손상된 장벽을 통해 식품과 공기 알레르기항원 유입을 유도하여 면역학적 반응과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3 이른 시기에 습진이 발생한 영유아는 2세까지 알레르기항원 감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3배 더 높습니다.3 식품에 대한 반응은 면역글로불린 E(IgE) 매개이거나 비 IgE 매개(예: 포진피부염)일 수 있습니다.4 아토피 행진은 계속 진행되므로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어린이는 나중에 알레르기 비염이나 천식이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3,5-7

습진이 있는  영아 및 유아의 대부분은 질병의 중증도에 영향을 주는 기저 알레르기가 있습니다.3,11  특이 IgE 혈액 검사는 이러한 알레르기항원을 확인하고 개인별 맞춤 관리 계획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00% 더 높은 발생 가능성

이른 시기에 습진이 발생한 영유아는 2세까지 알레르기항원 감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3배 더 높습니다.3

아토피 습진 환자를 임상적으로 평가할 때 담당 의사는 다음과 같은  잠재적 유발인자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17

  • 자극제(예: 비누, 세제, 세면도구, 양모)
  • 접촉성 알레르기항원
  • 담배 연기
  • 식품 알레르기항원
  • 흡입 알레르기항원(Aeroallergen)
  • 감정적 스트레스
  • 화학 물질 
  • 세척제

습진의 악화 요인과 유발인자에는 열, 땀, 감정적 스트레스 및 특정 화학물질, 담배 연기, 세제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아토피 피부염 감별진단을 위한 검사

아토피 피부염은 종종 천식 및 비염과 같은 다른 질환과 연관되어 발생하는 복합 질환입니다. 지침에서는 AD의 진단을 신체 검사로부터 시작하도록 권고합니다. 이 평가 과정에서 알레르기에 중점을 둔 환자 병력 조사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1,12

알레르기에 중점을 둔 환자 병력 조사 결과에 따라 다음에 진행할 최선의 단계로 특이 IgE 검사를 의뢰할 수 있습니다. 혈액 특이 IgE 정량검사 및 피부단자검사(SPT)는 알레르기항원 감작 가능성을 고려하거나 배제하는 데 도움을 주며, 이를 통해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고 임상 관리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15,16 특이 IgE 혈액 검사는 피부 상태와 상관없이 수행할 수 있지만, AD 환자의 피부 상태로 인해 SPT는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누가 검사를 받아야 합니까?

습진을 앓고 있는 영아 및 유아의 최대 70%가 질환의 중증도에 기여하는 기저 알레르기 질환을 가지고 있으므로13,14 담당 의사는 특이 IgE 정량검사를 활용하여 진단 능력을 개선하고 특정 알레르기항원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검사를 통해 수집한 고유한 정보는 맞춤화된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증상 역치

알레르기 환자의 최대 80%는 2가지 이상의 알레르기항원에 감작되어 있습니다.18 그 영향은 누적됩니다. 각 환자는 여러 유발인자가 있을 수 있으며 이들 인자가 복합적으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9, 20 알레르기항원의 증상 역치는 증상을 유발하기 시작하는 누적된 알레르기항원 부하의 수치입니다.19, 20

알고리즘을 보려면 클릭하십시오

아토피 피부염과 삶의 질

아토피 피부염(AD)은 의료 자원뿐 아니라 환자와 환자 보호자의 삶의 질에 큰 부담을 줍니다.1

  •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소아는 천식, 당뇨병 또는 간질이 있는 소아보다 삶의 질이 더 낮습니다.8
  • 습진은 학교 결석, 활동 제한 및 사회적 고립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9
  • 습진을 앓고 있는 소아와 그 부모는 수면 시간이 하루에 최대 2시간 줄어들 수 있습니다.10

일반적인 알레르기항원

특이 IgE의 혈청학적 검사는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에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습진이나 기타 알레르기 증상이 있으면 누구나 특이 IgE 정량검사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 누적을 유발하는 일반적인 알레르기항원은 다음과 같습니다.17

  • 동물 비듬
  • 계란
  • 생선
  • 집먼지 진드기
  • 우유
  • 땅콩
  • 꽃가루
  • 조개류
  • 견과류

Testing Confidence

테스트로 진단 신뢰도 향상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되는 진단 검사를 추가하면 진단에 대한 신뢰도가 90 %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i,ii 통상적으로, 알레르기성 또는 자가 면역 질환의 진단은 사례 이력 및 신체 검사에 의존합니다. 그러나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되는 진단 검사를 추가하면 진단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i,ii 진단 검사는 또한 환자의 삶의 질과 생산성을 높이고 결근과 관련된 비용을 줄이며 의약품의 사용을 최적화하고 예정되지 않은 의료기관 방문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iii,iv 

i. Duran-Tauleria E, Vignati G, Guedan MJ, et al. The utility of specific immunoglobulin E measurements in primary care. Allergy. 2004;59 (Suppl78):35-41.
ii. NiggemannB, Nilsson M, Friedrichs F. Paediatric allergy diagnosis in primary care is improved by in vitro allergen specific IgE testing. Pediatr Allergy Immunol. 2008;19:325-331
iii. Welsh N, et al. The Benefits of Specific Immunoglobulin E Testing in the Primary Care Setting. J Am Pharm Assoc. 2006;46:627.
iv. Szeinbach SL, Williams B, Muntendam P, et al. Identification of allergic disease among users of antihistamines. J Manag Care Pharm. 2004; 10 (3): 234-238

테스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550 개 이상의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학술 정보를 얻으십시오.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관리 및 치료 

일반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습진)과 두드러기(담마진)를 포함한 피부 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질환을 가진 환자의 관리는 쉽지 않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토피 피부염과 두드러기는 특히 사회 활동과 심리적 웰빙을 포함한 건강 관련 삶의 질(HRQoL)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리고 이들 질환 중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모두를 가진 많은 환자들이 실내 환경 관리, 개인 증상 관리, 여행, 수면, 휴식, 학교, 직장 생활 등 일상 생활의 모든 측면에서 피부 증상에 기인하는 문제를 보고합니다.21, 22

피부 알레르기 관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치료 범주로 구성됩니다.21, 22

1. 알레르기항원 회피 및 환경 관리 방법
2. 약리학적 요법
3. 면역요법

지침에서는 질환의 중증도와 급성 발작부터 증상을 조절하기 까지의 변동성 등을 바탕으로 관리 강도를 달리하는 치료 계획을 개발할 것을 제안합니다. 피부 증상 관리 계획의 주된 요소는 수분 공급, 국소 항염증제 사용 및 항균 조치가 있습니다.23, 24

참고문헌

 

  1. Pawankar R, Holgate S, Canonica G, at el. World Allergy Organization. White Book on Allergy (WAO). 2011. http://www.worldallergy.org/UserFiles/file/WAO-White-Book-on-Allergy_web.pdf. Accessed December 2017. 
  2. Kay J, Gawkrodger DJ, Mortimer MJ, Jaron AG. The prevalence of childhood atopic eczema in a general population. J Am Acad Dermatol. 1994;30(1):35-39.  
  3. Bantz SK, Zhu Z, Zheng T. The Atopic March: Progression from Atopic Dermatitis to Allergic Rhinitis and Asthma. J Clin Cell Immunol. 2014;5(2):202.  
  4. Spergel JM. Nonimmunoglobulin e-mediated immune reactions to foods. Allergy Asthma Clin Immunol. 2006;2(2):78-85. 
  5. Van Der Hulst AE, Klip H, Brand PL. Risk of developing asthma in young children with atopic eczema: a systematic review. J Allergy Clin Immunol. 2007;120(3):565-569.
  6. Gustafsson D, Sjöberg O, Foucard Tet al. Development of allergies and asthma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a prospective follow-up to 7 years of age. Allergy. 2000;55(3):240-245.
  7. Kulig M,  Bergmann R, Tacke U, et al. Long-lasting sensitization to food during the first two years precedes allergic airway disease. The MAS Study Group, Germany. Pediatr Allergy Immunol.1998;9(2):61-67
  8. Beattie PE, Lewis-Jones MS. A comparative study of impairment of quality of life in children with skin disease and children with other chronic childhood diseases. Br J Dermatol. 2006;155(1):145-151
  9. Lewis-Jones S: Quality of life and childhood atopic dermatitis: the misery of living with childhood eczema. Int J Clin Pract. 2006;60:984-992. 
  10. Reid P, Lewis-Jones MS. Sleep difficulties and their management in preschoolers with atopic eczema. Clin Exp Dermatol. 1995;20(1):38-41.
  11. European Academy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Global Atlas of Allergic Rhinitis and Chronic Rhinosinusitis, 2015. http://www.eaaci.org/globalatlas/ENT_Atlas_web.pdf. Accessed January 2018. 
  12. Smith HE, Hogger C, Lallemant C, et al. Is structured allergy history sufficient when assessing patients with asthma and rhinitis in general practice? J Allergy Clin Immunol. 2009;123:646-650.
  13. Spergel JM. Am J Clin Dermatol. 2008;9:233-44.
  14. Eigenmann PA, et al. Prevalence of IgE-mediated food allergy among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Pediatrics. 1998;101:E8.
  15. Duran-Tauleria E, Vignati G, Guedan MJ, et al. The utility of specific immunoglobulin E measurements in primary care. Allergy. 2004;59 (Suppl 78):35-41.
  16. Niggemann B, Nilsson M, Friedrichs F. Paediatric allergy diagnosis in primary care is improved by invitro allergen specific IgE testing. Pediatr Allergy Immunol. 2008;19:325-331.
  17. NHS Eczema; www.nhs.uk/conditions/eczema-(atopic)/pages/causes.aspx; last accessed October 2017.
  18. Lewis-Jones S, Mugglestone MA, Guideline Development Group (2007) Management of atopic eczema in children aged up to 12 years: summary of NICE guidance. BMJ 335(7632):1263-1264
  19. Ciprandi G, Alesina R, Ariano R, et 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allergic polysensitization: the POLISMAIL study. Eur Ann Allergy Clin Immunol.  2008;40(3):77-83.
  20. Eggleston PA. Control of environmental allergens as a therapeutic approach. lmmunol Allergy Clin North Am. 2003;23(3):533-547.
  21. Lifschitz C. The Impact of Atopic Dermatitis on Quality of Life. Ann Nutr Metab. 2015;66(suppl 1):34–40 
  22. O'Donnell BF, et al. The impact of chronic urticaria on the quality of life. Br J Dermatol.1997 Feb;136(2):197-201.
  23. LeBovidge J et al. Multidisciplinary interventions in the management of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2016 Aug;138(2):325-34.
  24. Deacock SJ. An approach to the patient with urticaria. Clin Exp Immunol. 2008 Aug;153(2):151-61.